티스토리 뷰
목차
“책 샀다고, 영화 봤다고 세금을 돌려준다고요?”내가 1년 동안 도서, 공연, 영화, 체육시설에 쓴 돈이 있다면, 최대 100만 원까지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몰라서 못 받는 문화비소득공제’, 지금부터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1. 문화비 소득공제란?
문화비 소득공제는 정부가 국민의 문화생활을 장려하기 위해,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외에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공제 제도입니다.
- 기존 신용카드 사용액 소득공제: 연간 한도 O
- 문화비: 별도 한도로 추가 공제 가능
✅ 도서·공연·영화비는 물론
✅ 최근에는 헬스장·요가·수영장 등 체육시설 이용비까지 포함돼, 절세 효과가 훨씬 커졌습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확인은 아래 사이트이용하시면 됩니다.
2. 문화비 소득공제 누가 받나요?
대상자 |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 |
공제 요건 | 신용카드 등 사용액 소득공제를 받는 사람 |
결제 방식 |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만 인정 |
사용처 요건 | 등록된 가맹점에서 사용한 문화비만 해당 |
공제 우선순위 | 일반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초과 후 초과분에 대해 적용 |
3. 얼마나 돌려받나요?
공제 대상 항목 | 도서, 공연, 영화, 체육시설 이용 |
공제 한도 | 연간 최대 100만 원 추가 공제 |
공제율 | 사용금액의 30% |
조건 | 총 사용금액이 급여의 25% 초과 시 공제 가능 |
환급 시기 | 연말정산 시 (1~2월 회사제출, 3월 환급) |
📌 예시
- 총 급여: 5,000만 원
- 연간 카드 사용액: 1,400만 원
- 이 중 문화비 100만 원 포함 시→ 문화비 사용액의 30% = 30만 원 소득공제 가능
4. 문화비소득공제 가능항목 & 불가항목
종이책/전자책 구매 | 참고서, 교재, 문제집 |
영화관 티켓 | OTT(넷플릭스, 웨이브 등) |
연극, 뮤지컬, 콘서트 | 스포츠 경기 관람 |
헬스장, 필라테스, 수영장 | PT, 단기 특강 등 교육성 상품 |
✅ 핵심은 등록된 문화체육관광부 인증 가맹점에서의 결제여야 인정됩니다.
📍 어디서 확인하나요? → https://www.culture.go.kr
문화포털
주요서비스 문화포털의 주요서비스를 바로 만나보세요! 내 주변 문화콘텐츠 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인천시 대전시 광주시 울산시 세종시 경기도 강원도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도
www.culture.go.kr
5. 홈택스 신청방법
STEP 1️⃣ - 카드사 내역 확인
- 카드사 앱/홈페이지에서 ‘문화비 사용내역’ 확인
- 분류되지 않았을 경우 → 고객센터 요청
STEP 2️⃣ - 홈택스 연말정산 자료 확인
- 홈택스 > 연말정산 간소화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항목
- 하위 항목에서 ‘도서·공연·체육비 사용금액’ 확인
STEP 3️⃣ - 회사에 제출
- 회사에 간소화 PDF 파일 제출하면 자동 반영
6. 문화비소득공제 많이하는질문
Q1. 카드로 샀는데 문화비로 안 잡혀요. 왜 그런가요?
A. 가맹점이 등록되지 않았거나, 항목 분류가 누락된 경우입니다.
→ 카드사 고객센터에 ‘문화비 등록 요청’ 가능.
Q2. 문화비 한도 100만 원은 별도 한도인가요?
A. 네, 기존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외 추가로 100만 원까지 공제 가능합니다.
Q3. 문화비와 체육비는 별도 한도인가요?
A. 아니요. 합산 100만 원까지입니다.
Q4. 문화비에 교육비도 포함되나요?
A. 아닙니다. 학원비, 학습지 등은 교육비 공제 대상입니다.
Q5. 연말정산 외 종합소득세 신고자도 받을 수 있나요?
A. 기본적으로는 근로소득자 대상입니다. 사업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Q6. 문화비 현금 결제도 되나요?
A.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은 경우에만 인정됩니다.
Q7. 문화비 소득공제와 신용카드 공제는 어떻게 구분되나요?
A. 일반 사용액은 신용카드 공제, 문화비는 신용카드 공제 초과분에서 추가로 공제됩니다.
Q8. 전자책도 되나요?
A. 네. 교보eBook, YES24 등 등록된 서점에서 구매한 경우 가능합니다.
Q9. 카드사별 문화비 조회 방법은?
A. KB, 신한, 삼성, 현대카드 등 모두 홈페이지/앱에서 ‘문화비 내역’ 확인 가능.
Q10. 9월 이후에만 산 건 공제되나요?
A. 연도 내 결제 금액은 전부 해당됩니다.
Q11. 미취학 자녀 책 구입도 포함되나요?
A. 본인 명의 카드로 결제한 경우라면 포함 가능 (단, 자녀 명의 불가)
Q12. 영화 관람은 문화비인가요?
A. 예,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등록된 극장 이용 시 인정됩니다.
Q13. 스포츠센터 등록비도 가능한가요?
A. 헬스장, 요가, 수영장은 가능하지만 축구교실, 스포츠 아카데미는 교육으로 간주돼 제외됩니다.
Q14. 카드사에서 자동으로 분류해 주나요?
A. 네, 대부분 자동 분류되며 누락 시 수동 등록 요청 필요.
Q15. 얼마까지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A. 소득공제 금액에 따라 달라지며, 세율에 따라 최대 수십만 원 환급 가능.
7. 체육시설 등록증, 영수증의 중요성
헬스장, 필라테스, 수영장 등에서 운동하고 돈을 냈다고 해서 무조건 공제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조건 1. 등록된 문화체육관광부 가맹업체여야 함
체육시설 사업자가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사업자여야 문화비로 인정됩니다.
① 문화포털 검색 | www.culture.go.kr 접속 → ‘문화비 소득공제 가맹점 조회’ |
② 사업자등록증 요청 | 시설 관리자에게 “문화비 소득공제 등록되어 있나요?” 물어보고 사업자등록증 확인 |
💡팁: 등록된 가맹점이 아닌 PT샵, 아파트 커뮤니티 헬스장 등은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조건 2. 반드시 신용카드 / 체크카드 / 현금영수증 결제
현금 결제만 하고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지 않으면 절대 공제 안 됩니다.
신용카드 | ✅ 인정 |
체크카드 | ✅ 인정 |
현금 + 영수증 발급 | ✅ 인정 |
현금 + 영수증 미발급 | ❌ 불인정 |
계좌이체 | ❌ 불인정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간편결제 | ✅ 카드 연결된 경우 가능 (일부 제외) |
8. 문화비 소득공제로 챙길 3가지
대상 |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
공제 한도 | 연간 최대 100만 원 추가 소득공제 |
대상 항목 | 도서, 공연, 영화, 체육시설 이용비 (카드 결제) |
✅ 홈택스 간소화자료 + 카드사 문화비 사용내역 꼼꼼히 비교
✅ 자주 가는 문화생활 장소가 등록 가맹점인지 미리 확인
✅ 체육시설 이용 시 등록증 요청 또는 현금영수증 필수
✅ 문화비가 누락됐다면 꼭 카드사에 요청해서 재분류
아래 버튼에서 문화비 소득공제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지금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