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퇴직금 세전세후 계산기 실제 수령액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언젠가 받게 될 퇴직금. 세전과 세후 실제 수령액이 얼마나 다를까요? 자동 계산기부터 세금 공제 항목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빠르게 계산해보고 싶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 퇴직금 세전·세후 차이 핵심 요약

     

    퇴직금 세전 세후 차이알기

    세전 금액, 세후 금액 알아보세요

     

    정의 근속기간 × 평균임금 × 30일 세전 금액 – 퇴직소득세 – 지방소득세 등
    차이 발생 이유 퇴직소득세(국세) 및 지방소득세 공제 실수령액은 실제 공제 후 금액
     

    📊 퇴직금 계산 방법: 기본 공식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평균임금 계산법

    최근 3개월간 급여 총합 ÷ 총 일수
    👉 연봉 기준 계산보다 훨씬 정확한 방식

     

    예시) 월급 350만 원 × 3개월 = 1,050만 원
    → 1,050만 원 ÷ 90일 = 일당 11.6만 원
    → 11.6만 원 × 30일 × 10년 근속 = 약 3,480만 원

    이게 세전 퇴직금입니다. 여기에서 세금이 빠지고 나면 실수령액은 달라집니다.

    💸 퇴직소득세는 얼마나 빠질까?

    퇴직소득세 근속연수 일정금액 공제

    퇴직소득세는 퇴직소득공제 → 과세표준 산정 → 세율 적용 단계를 거칩니다.

     

    📍 퇴직소득 공제 

     

    근속연수에 따라 일정 금액 공제

    • 5년 이하: 1년에 300만 원 공제
    • 5년 초과분: 1년에 500만 원 공제

    예: 10년 근속 → 5 ×300 + 5 ×500 = 4,000만 원 공제

     

    📍 과세표준 계산

    (세전 퇴직금 – 퇴직소득공제) ÷ 2 = 과세표준
    👉 이 과세표준에 소득세율 적용 후 다시 1년으로 환산해 세액 계산

     

    예를 들면:
    퇴직금 4,800만 원 – 공제 4,000만원 = 800만원
    → 800만원 ÷ 2 = 400만 원 → 과세표준

    → 누진세율표 적용 후 세액 산출

     

    📍 지방소득세

    • 국세의 10% 부과 (소득세가 200만 원이면, 지방세는 20만 원)

    ✅ 퇴직금 세전세후 계산기 사용법 

    퇴직금 자동계산기 사진1퇴직금 자동계산기 사진2퇴직금 자동계산기 사진3
    퇴직금 자동계산기 사진1퇴직금 세전세후 자동계산기

    실제로 이 계산 복잡하죠? 그래서 아래와 같은 자동 계산기 활용을 추천드립니다.

     

    🔹 고용노동부 퇴직소득세 계산기

    • 평균임금, 근속연수, 예상퇴직금만 입력하면
    • 세전/세후 모두 자동 계산
    • 공제액, 소득세, 지방세까지 상세하게 나옴

    📉 사람들이 궁금한 퇴직금 실수령 예시

    월 평균급여, 근속연수, 세전 퇴직금실수령(세후)

     

    250만원 5년 약 3,125만원 약 2,850만원
    300만원 10년 약 4,500만원 약 4,000만원
    350만원 15년 약 6,500만원 약 5,600만원
     

    근속연수가 길어질수록 공제액도 증가해서, 상대적으로 세금 부담이 낮아집니다.

     퇴직금 절세 꿀팁도 있어요!

    1.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로 수령
      → 세율 분리과세 + 장기 운용 가능
    2. 퇴직 전 근속 연도 1년이라도 더 채우기
      → 공제액 증가 → 세금 절감 효과
    3. 퇴직금 수령 연도 말고, 이듬해 수령
      → 연말정산 대상에서 제외돼 세금 영향 줄임

    ✅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질문 (FAQ )

    퇴직금 수령사진1퇴직금 수령사진2퇴직금 수령사진3
    퇴직금 세금은 원천징수됩니다

     

     

    Q1. 퇴직금 수령 시 연말정산에 영향을 주나요?

     

    A. 퇴직금을 퇴직소득세로 분리과세할 경우, 연말정산과 별개 처리됩니다.

     

    퇴직 이후 다른 근로소득 발생하거나, 수령 시점이 애매할 경우,종합소득세 대상 될 수 있으니 세무 상담이 권장됩니다.

     

    Q2. 퇴직금을 분할로 받을 수 있나요?

     

    A. 퇴직금 자체는 원칙적으로 일시금으로 지급되지만, 퇴직연금(IRP 등)으로 수령할 경우
    연금 형태로 분할 수령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세금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습니다.

     

    Q3. 평균임금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

     

    A. 다음 항목은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 상여금(일시적 지급)
    • 연차수당
    • 식대, 교통비 중 비정기적 수당
    • 복리후생 성격의 비과세 항목 등

    Q4. 퇴직금 세금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아래 3가지 전략이 실질적으로 유효합니다.

    1. IRP 계좌로 수령해 분리과세 적용받기
    2. 근속연수 끊기지 않게 유지해 공제 확대
    3. 수령 시점 조정 (연말 말고 연초 수령 추천)

    Q5. 퇴직금 외에도 세후 수령금이 줄어드는 이유가 있나요?

     

    A. 네. 회사가 추가로 공제할 수 있는 항목이 있습니다.

    • 미사용 연차 수당
    • 복리후생비 정산
    • 경조사비/대여금 등 정산

    퇴직 시 급여명세서를 반드시 확인해 보세요!

    함께보면 좋은글

    2025.06.26 - [분류 전체보기] - 3개월만 일해도 받는 퇴직연금 가입의무화 대상

     

    3개월만 일해도 받는 퇴직연금 가입의무화 대상

    퇴직금은 근무 종료 후 일시금으로 지급, 앞으로는 일정 기준 이상 기업은 퇴직연금을 사내적립이 아닌 ‘금융기관에 외부적립’하는 것이 의무가 됩니다. 퇴직연금 의무가입 제도, 지금 알아

    across.kind-find.kr

    실수령 금액 사진1실수령 금액 사진2
    자동계산 실수령액

    반응형